Computer·便紙紙·常識/自動車

정비 상식

utopia100 2008. 12. 15. 15:35

엔진오일 및 필터교환방법

(1)엔진을 수분동안 워밍업시키고 시동을 끈다.
(2)주입구와 배출구를 열어 엔진 오일을 배출한다. (이때 엔진과 오일은 뜨거우니 조심해야 된다).
(3)오일필터 렌치로 엔진오일 필터를 제거한다.
(4)새 오일 필터의 표면은 깨끗한 수건으로 닦는다.
(5)새 오일 필터의 고무링에 소량의 엔진오일을 도포한 후에 체결한다.
(6)엔진오일이 완전히 배출된 후에 배출구를 체결하고 새 엔진오일을 주입한다. 이때 게이지의 F 이상 주입하지 않는다.
(7)엔진오일 주입구를 확실히 체결한다.
(8)엔진을 시동시켜 오일필터 주변이 누유가 없는지 확인하고 오일량을 재점검한다.

※ 엔진오일은 최초 1,000km 주행 후 이후는 10,000km마다 교환한다

냉각수 점검 및 보충

냉각수는 엔진온도를 항상 적정온도로 유지시켜 엔진과열 및 엔진 동파를 방지한다.

(1)냉각수의 점검/보충은 냉각수 온도가 낮을 때 라디에이터의 보조탱크를 점검한다
(2)냉각수의 양은 항상 보조탱크의 LOW와 FULL사이를 유지, FULL이상은 넣지 않는다.
(3)LOW이하인 때는 냉각계통을 점검하고 보충한다. 또한 보조탱트가 완전히 비었을 때는 라디에이터에 가득차도록 보충한다. 냉각수 교환 냉각수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부동 성능, 방청 성능이 저하된다. 이러한 냉각수를 계속 사용하면 동파나 녹이 발생한다.
(1)냉각수 주입구(라디에이터 캡) 및 배출구(드레인플러그)를 열어 냉각수를 제거
(2)냉각수 내부를 물로 세척한다.
(3)냉각수 배출구를 잠그고 적정 혼합비율로 혼합된 냉각수를 주입구로 넣는다.
(4)냉각수 주입구를 열어 놓은 채 엔진시동을 걸고 조금씩 냉각수를 보충한다.
(5)엔진이 정상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기다린다. 악셀페달을 2~3회 밟고 필요하면 냉각수를 보충한 후 냉각수의 누수가 없는지 확인 한다.
(6)냉각수 주입구를 닫고 냉각수의 누수가 없는지 확인한다.
(7)냉각수 보조 탱크의 냉각수 양을 다시 한번 점검한다.

※ 냉각수 교환은 40,000km마다 4계절 부동액(LLC)과 물을 혼합(45%)하여 사용한다.

수동변속기 오일점검 및 교환

1. 오일 점검
(1)차를 평탄한 곳에 주차
(2)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고 이그니션 스위치를 OFF로 한다.
(3)변속기 케이스로부터 스피드미터 드리븐 기어를 분리한다.
(4)드리븐 기어를 깨끗이 닦아 다시 집어 넣는다.
(5)드리븐 기어를 뽑아 오일의 눈금을 확인한다. 오일량은 F와 L사이에 있어야 한다.
(6)만일 L이하이면 드리븐 기어 조립구멍으로 주유일람표의 순정오일을 주입한다. 이때 넘치지 않도록 주의한다.

2. 오일 교환
(1)트랜스액슬 케이스로부터 스피드미터 드리븐 기어를 분리한다.
(2)드레인 플러그를 연다.
(3)오일이 완전히 제거된 후에 새 개스킷을 끼우고 배출구를 닫는다.
(4)주유일람표의 순정오일을 F까지 채운다.
(5)드리븐 기어와 케이블을 장착한다.

자동 변속기 오일점검

(1)차를 수평한 장소에 주차하고 엔진을 시동시킨 상태에서 점검한다.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레버를 P에서 1위치로, 1위치에서 각 위치로 수초간을 유지하면서 이동시켜 P위치에 놓아둔다.
(2)엔진 공회전 상태에서 오일게이지를 뽑아 끝부분을 깨끗이 닦아낸 후 다시 꽂아 넣는다. 다시 게이지를 뽑았을 때 오일이 F와 L의 범위에 있는가를 점검한다.
(3)L 이하 또는 L 근처일 때에는 게이지 체결구멍으로 주유일람표의 순정오일을 F까지 주입한다.

* 자동변속기의 오일 교환 주기는 약 40,000km로 주기적인 교환을 해야 된다.

브레이크액 점검 및 보충

(1)브레이크액 탱크에 표시된 MAX와 MIN의 기준선 사이에 브레이크액이 있는가 점검한다.
(2)탱크 주위에 누유된 흔적이 없는가도 점검한다. 브레이크액이 적을 때는 MAX선까지 보충해 준다.

* 주의사항
(1)탱크 뚜껑의 구멍이 막히면 브레이크 성능이 나빠질 수 있다.
(2)브레이크액이 현저하게 감소할 때는 브레이크 계통의 누설 등이 있을 수 있다.
(3)세차시는 탱크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4)브레이크액은 1년 또는 20,000km마다 교환한다.

타이어 교환 순서

(1)견고하고 평탄한 지면에 정차한 후 주차 브레이크를 확실히 작동시킨다.
(2)변속 레버를 R(후진)으로 한다. 자동변속기는 P(주차)로 한다.
(3)차량에서 예비 타이어, 잭, 잭 핸들, 렌치를 꺼낸다.
(4)교환할 타이어의 반대 대각에 있는 타이어의 앞과 뒤에 고임목을 설치한다. (5)휠 커버가 있다면 제거한다.
(6)렌치를 이용, 시계 반대방향으로 푼다. 이때 너트를 완전히 풀어 분리하지 않는다.
(7)교환해야 할 타이어에서 가장 가까운 잭 포인트 아래에 잭을 위치시킨다.
(8)잭에 잭핸들을 넣고 타이어가 지면에서 떨어질 때까지 시계방향으로 돌린다. 바퀴 너트를 풀기 전에 안전하게 잭업 되었는가를 확인한다.
(9)휠너트를 시계반대방향으로 돌려 빼내고 타이어를 뺀다.
(10)예비 타이어를 위치시키고 손으로 너트를 조인다.
(11)잭핸들을 시계반대방향으로 돌려 타이어를 지면으로 내린다.
(12)렌치를 이용하여 대각의 순으로 너트를 완전히 체결한다

주행 중 와이퍼가 작동하지 않을 때

1. 원인
(1)와이퍼 휴즈(10A:실내휴즈박스에 위치) 끊어짐
(2)와이퍼 블레이드 구동용 와이퍼 암이 이탈됨 이 경우
(3)와이퍼모터 불량
(4)와이퍼작동 전기회로의 고장

2. 해결방법으로는
(1)와이퍼 휴즈 점검 및 교환
(2)와이퍼 블레이드 구동용 와이퍼 암의 14mm 너트가 풀렸을 경우 스패너로 조여준다. 와이퍼모터와 와이퍼 암을 연결하는 구동링크가 이탈된 경우: 정비업소 이용
(3)와이퍼모터 교환
(4)와이퍼 암 구동링크의 이탈여부 점검 및 수리
(5)와이퍼작동 전기회로 점검 및 수리
(6)담배가루나 물기 많은 나뭇잎을 뭉쳐서 앞유리를 문질러 준다.
(7)비누나 중성세제를 앞유리에 발라준다. 이렇게 하면 유리의 표면장력이 커져 빗물이 주룩주룩 타고 내려오는 현상을 줄일 수 있어 어느정도 시계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자주 교환해야 되는 부품

(1)오일 필터 엘리먼트(oil filter element, 카트리지 타입): 보통 1만km마다 교환
(2)에어 클리너 엘리먼트(air cleaner element): 보통 3만km마다 교환
(3)퓨얼 스트레이너 엘리먼트(fuel strainer element)
(4)튜브(tube)의 밸브(valve)
(5)타이어(tire)
(6)튜브(tube)
(7)팬 벨트(fan belt): 예비로 하나 더 있는 것이 상식
(8)퓨즈(fuse): 예비로 2-3개 있는 것이 상식
(9)와이퍼 블레이드(wiper blade): 닦는 상태가 나빠졌다면 교환
(10)점화 플러그(plug): 보통 2만km마다 교환
(11)디스트리뷰터(distributor, 배전기)의 포인트 한쌍
(12)디스트리뷰터의 로터(rotor)
(13)디스트리뷰터의 캡(cap)
(14)브레이크나 클러치의 유압 계통 실린더의 피스톤 컵(piston cup): 기름누출은 이것을 교환하면 대체로 멎는다.
(15)그리스 니플(grease nipple)
(16)라디에이터 호스(radiator hose): 차량 검사시에는 무조건 교환
(17)브레이크 슈(brake shoe): 차량 검사시엔 무조건 교체
(18)브레이크 패드(brake pad)

점화플러그의 점검 및 교환

점화플러그는 실린더 내부의 혼합기를 점화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점화플러그가 불량하면 불완전연소로 인한 엔진부조, 배기가스 증가 등을 야기시키므로 점검·정비 주기표에 따라 점검 교환한다.

(1)이그니션 스위치를 OFF로 한다.
(2)점화플러그 케이블을 플러그로부터 분리하고 점화플러그 주변을 깨끗이 한다.
(3)플러그 렌치를 이용하여 점화플러그를 분리한다.
(4)새 점화 플러그를 손으로 가능한대로 돌려 끼운다. 부드럽지 않으면 다시!
(5)점화플러그 렌치를 이용하여 조인다. 점화플러그는 단단히 조여져야 하나 과도하게 조여서는 안된다.
(6)점화플러그에 점화플러그 케이블을 꽂는다. 이때 점화플러그 케이블이 원래의 순서대로 점화플러그에 연결되도록 주의한다.

램프류 점검

1. 헤드 램프
(1)점등상태로 하여 밝기나 조명방향 등을 점검한다.
(2)렌즈가 파손, 변색 또는 금이 가지 않았는가 점검한다.
(3)확실히 부착되어 있는가 확인한다.

2. 기타 램프류
(1)각 램프의 스위치를 on으로 했을때 점등 또는 점멸하는가 확인한다.
(2)차외: 차폭등, 후미등, 미등, 제동등, 비상등, 안개등, 번호등
(3)차내: 계기의 조명등, 실내등
(4)각 램프의 렌즈가 파손, 변색 또는 김이 가지 않았는가 점검한다.

퓨즈교환

1. 운전석 내 휴즈의 교환
(1)엔진시동을 끈다.
(2)운전석 좌측하단의 휴즈박스 뚜껑을 연다.
(3)휴즈박스 뚜껑에 있는 집게로 끊어진 휴즈를 제거, 같은 용량의 예비휴즈를 삽입

* 주의사항
(1)반드시 규정된 용량의 휴즈만 사용한다.
(2)휴즈를 제거하기 위해 드라이버나 금속물체를 이용하지 않는다. 쇼트 등으로 인해 전기장치에 큰 손상을 입힐 수 있다.
(3)휴즈 교환 후에도 계속 휴즈가 단락되면 전기장치의 다른 과부하가 있으니 정비업소에 정비를 의뢰한다.

2. 엔진실내 휴즈의 교환 엔진실내 휴즈를 교환할 때는 엔진 시동을 끄고 휴즈를 앞쪽으로 곧게 뽑아내고 새 휴즈를 끼운다.

'Computer·便紙紙·常識 > 自動車'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고차, 허위매물 낚시질에 안걸리는 비결은  (0) 2008.12.15
상식 몇가지  (0) 2008.12.15
관련법규상식  (0) 2008.12.15
자동차의 제원  (0) 2008.11.07
오토 미션  (0) 2008.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