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26일
1531 포르투갈 리스본에 지진 3만 명 사망
1593(조선 선조 26) 벽제관 전투에서 명 나라 군사 왜군에 패함
1700 북미 캘리포니아, 오레곤, 워싱턴 등지 진도 9.0 지진 발생
1788 영국,호주에 최초의 식민 시민 상륙
1823 최초로 종두를 실시한 영국 의사 제너(1749-1823) 세상 떠남
1841 영국, 홍콩에 대한 주권 선언
1879 영국의 초상 사진작가 케머런 사망
1880 미국의 군인 더글러스 맥아더 태어남."노병은 죽지 않는다. 다만 사라져갈 뿐이다."
1880(조선 고종 17) 유구인 6명, 방답진 앞 바다에 표류
1881 프랑스, 출판의 자유 확대
1898(조선 고종 35) 이근배 김두승, 한성전기회사 설립.고종이 일화 30만 엔을 출자하여 극비리에 추진한 황실기업
우리 나라에 전기가 처음 들어온 것은 1884년. 미국 에디슨 전기주식회사에 발주하여 경복궁에 16촉광 백열등 750개 켤 수 있는
동양 최대 발전소 설치. 백열등을 보고 묘하다고 하여 '묘화(妙火)'라 부르기도 하고 꺼졌다 켜졌다
제멋대로 한다고 하여 '건달불'이라 부르기도 함
1902 한국 화학의 선구자 이태규(1902-1992) 태어남.미국의 화학자 아이랑과 함께 '이-아이링 이론'을 세웠다.
1965년에는 노벨상 추천위원으로 뽑히기도 하였다.
1904 문학평론가 도남 조윤제 태어남
1910 국제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헤이그협약` 국제적으로 발효
1934 소련, 폴란드 불가침조약 조인
1939 제1회 전국 빙구선수권대회 열림
1948 폴란드 피아니스트 프리드만 사망
1950 한미상호방위원조협정 조인
1950 인도 헌법 제정
1951 해병대 인천상륙
1956 제7회 동계올림픽 개막(이탈리아 코르티나 담페소)
1958 이집트와 시리아 합병 합의
1960 서울역 구내에서 압사사고 발생.31명 사망
1962 한국-멕시코, 국교 수립
1962 문화재 수집가 간송 전형필 세상 떠남
1965 비둘기 부대 월남 파병안 국회 통과
1965 월남에서 반미데모확대 계엄령 선포
1967 영국 하원, 철도국유화 법안 통과
1967 야당통합을 위한 제1차 4자회담
1971 일본과 북한 적십자 대표, 모스크바서 재일교포 북송 재개에 합의
1971 소련 인공위성 `비너스7호`, 금성으로부터 최초의 데이타 송신에 성공
1976 남북조절위원회 서울측, 북측에 남북조절위원회 정상화 촉구
1978 소련, 코스모스호 추락지역 방사능 발견
1980 이집트,이스라엘 정식 국교 수립
1980 동해서 조업중이던 어선 2척 선원 24명 북한 경비정에 끌려감
1980 이란, 첫 대통령 선거 실시 사드르 당선
1983 다나카 전 일본수상에 5년 구형
1985 데레사 수녀 방한(~29일)
1988 미국, 한국에 대한 일반특혜관세제도(GSP) 제외 확정.철도박물관 개관
1991 농림수산부, 남북교역활성화 위해 북한과 교역 발표.90년 감자 1만2천톤 수입에 이어 91년엔 명태와 땅콩 수입하기로 함
1991 보사부, 레지던트 시험 부조리 예방 위해 지역별 공동관리제 실시
1994 김상만 동아일보 명예회장 별세
1995 김영삼대통령,'마틴 루터 킹 비폭력평화인권상' 수상
1995 국제통화기금, 멕시코에 차관제공을 승인
1999 미국,불공정무역관행 제재를 위한 수퍼301조 부활
2001 일본 유학생 이수현, 도쿄 전철노선에 떨어진 일본인 구하려다 사망
2001 대법원, 16대 총선에서 총선시민연대가 벌인 낙선운동은 위법이라고.
2001 인도 구자라트에 리히터 규모 6.9~7.9의 강진으로 3만여명 사상
2003 중국~대만 반세기 만에 비행기 운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