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30일
686(신라 신문왕 6) 원효대사(617-686) 입적
1108(고려 예종 3) 윤관, 여진족 물리치고 개선
1445(조선 세종 27) <태평요람> 완성
1493(조선 성종 24) 생육신의 한 사람인 매월당 김시습(1435-1493) 세상 떠남. 김시습은 1445년에 수양대군이
단종을 몰아내고 왕이 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책을 불사르고 승려가 되었다. 설잠이라는 법명을 짓고 전국을 방랑하면서
많은 책을 썼다. 우리 나라 최초의 한문소설인 <금오신화>를 지었고, 시문집으로 <매월당집>이 있다. 죽은 뒤
이조판서의 벼슬이 내려졌다. "비도 오지 않는데 어디서 천둥소리가 울려올까?
누런 구름이 조각조각 사방으로 흩어지네"김시습이 다섯 살 때 맷돌 가는 모습을 보고 지은 시다.
1746 스페인 화가 프란시스코 고야 태어남
1844 프랑스 상징주의 시인 폴 베를렌 출생
1853 네덜란드 화가 빈센트 반 고흐(1853-1890) 태어남."하나님을 아는 최선의 방법은 많은 사물을 사랑하는 것이다."
The best way to know God is to love many things.
1854 미국 페리 제독, 일본에서 개항조약 체결
1856 크림전쟁 종식
1867 미국, 알래스카를 러시아로부터 사들임.알래스카는 러시아 황제의 의뢰로 덴마크 탐험가 베링이 1741년에
첫발을 디뎠다. 그 뒤 러시아는 알렉산드르 팔라노프를 지사로 파견하여 다스렸다.
그러다가 러시아의 재정이 어려워지자 러시아 황제는 별 쓸모가 없었던 알래스카를 720만 달러에 미국에 팔았다.
1959년에 미국의 49번째 주가 된 알래스카는 면적이 151만 8717㎦로 미국에서 가장 커다란 주이지만
인구는 가장 적은 45만 명에 지나지 않는다. 원주민은 남부의 인디언, 북부의 에스키모, 알류산의 알류트 족 등을
합해 2만 명이 조금 넘는다. 알래스카의 주도는 주노이다.
1889 프랑스의 교량 기술자 에펠, 에펠탑 준공.프랑스 혁명 100주년을 기념하는 1889년 파리만국박람회의 상징물로 세워진
에펠탑은 그 이전에 세워진 어떤 건물에 비해서도 두 배 이상 높은 300m 높이의 철탑이다. 17개월 공사기간,
철골 7,000톤, 공사비 650만 프랑이 들었다."파리의 명예를 더럽힌다"며 이 탑의 건축을 반대하였던 지식인 중 한 사람인
모파상은 탑 안의 레스토랑에 자주 들르며, "이곳은 불길한 에펠탑을 보지 않아도 되는 유일한 장소"라고 말하곤 하였다.
독일에서는 베를린 타워를 세울 때 에펠탑보다 더 높이 세울 수 있었지만 당시 에펠탑이 세계적 명소로 떠오르자
프랑스의 자존심을 세워 주기 위해 일부러 에펠탑보다 3m 낮게 만들었다고 한다.
이에 비해 일본은 에펠탑보다 3m 높은 도쿄 타워를 시바 공원에 세우고 세계 제일의 탑이라고 선전한다.
1895 일본은행과 조선 정부간 3백만 엔의 차관계약 성립. 회계법 반포
1895 프랑스 소설가 장 지오노 출생
1902 작가 나도향 태어남
1905 독일군 탄지에르항 상륙, 제1차 모로코 사건 발생
1912 모로코, 프랑스와 페스조약을 맺고 프랑스 보호령으로 편입
1945 영국의 불루스 록 기타 주자 에릭 클랩튼 태어남.
팝계에서 'Show Hand(기타를 여유 있게 연주한다는 의미)'라는 별명으로 더 잘 통한다.
그의 기타 연주와 작곡은 'Unplugged Music' 붐을 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다.60년대를 풍미했던 클랩튼은
그 뒤 알콜 중독과 역경을 딛고 90년대에 재기하였다. 미국 음악계 최대 축제인 그래미 97년도 시상식에서
클랩튼은 영화 <페노메넌>의 삽입곡 'Change the World'로 노른자위 세 부분 가운데
두 부분(올해의 노래, 올해의 레코드)을 독식하였다.
1949 38선 이북지역 도/시/군/구역 인민위원회 대의원 선거 실시
1953 중국 주은래, 한국전쟁 휴전회담 재개 제안
1963 박정희, 윤보선, 허정 3자회담
1965 베트공, 사이공 미국대사관 폭파, 218명 사상
1966 신민당 창당(총재 윤보선)
1967 나토군사령부 파리철수 완료
1967 과학기술처 신설, 원자력원을 원자력청으로 개칭
1967 프랑스, NATO탈퇴로 NATO사령부 폐쇄
1972 박정희 대통령, 북한에 4대 군사노선 폐지 등 5대 평화원칙 제시
1972 대구일보, 창간 19년 만에 자진폐간
1973 `함성`지 사건 관련, 대학생 김남주 이 강, 교사 박석무 등 구속
1973 한국방송윤리위원회 창립
1978 호남선, 대전-이리 복선 개통
1981 레이건 미국 대통령 피격
1981 미국 지방고등법원, 김형욱 전 중앙정보부장의 사망을 선고
1982 부산 미국문화원 방화범 검거
1983 청진항, 일본-중국 무역중계지로 확정
1984 북한 올림픽위, 남북체육회담 제안
1987 고흐의 <해바라기> 그림, 3,990만 달러에 팔림. 런던의 크리스티 경매장에서 고흐의 그림이 3,990만 달러에 팔림으로써
16세기 화가 안드레아 만테냐의 그림 <마기에의 흠모>의 판매 기록 (1,040만 달러, 1885)을 갱신했다.
이 그림은 해바라기를 상징으로 하는 일본의 한 회사가 구입했다고 한다.
생전에 오직 한 점만이 팔렸던 고흐의 그림은 이후 그의 붓꽃 그림으로 다시 이 기록을 갱신한다.
1990 한국, 루마니아와 대사급 외교관계 수립
1990 화가 남관 사망
1990 일본, 재일교포 3세에 영주권 부여
1990 대한항공-아에로플로트, 서울-모스크바간 취항
1990 북 한 영화 첫 공개
1990 화가 남관(1911-1990) 세상 떠남."나는 2차 대전과 한국 전쟁, 두 번의 전쟁을 체험하였다.
많은 시체와 부상자들의 일그러진 얼굴은 고성의 무너진 돌담 같았고,석기 시대의 유물들이 마침내 태양 아래
드러난 것 같기도 하였다." 이렇게 전쟁을 겪은 뒤 남관은 43세 되던 1954년에 파리로 갔다.
1966년에는 망통국제회화 비엔날레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그는 "나의 모든 그림에는 해체되어 있든 용해되어 있든
기뻐하고 고뇌하며 또한 괴로워하는 인간들의 형상이 들어 있다"고 자신의 그림에 대해 말한다.
1991 외교통상부 산하 한국국제협력단 창립
1991 박영균 WBA 페터급 세계챔피언 획득
1994 뇌사자 심장 첫 원거리 이식성공
1995 대한변협, '현행 제도의 점진적 개선' 사법개혁안 발표
1995 자민련 창당(총재 김종필)
1998 아르메니아 대통령으로 로베르트 코차리안 당선
1998 독일 BMW사, 영국의 롤스로이스사 매입
2000 현대그룹, 각 계열사 대표로 구성된 경영자협의회를 폐지
2003 미셸 콴(미국), 세계피겨스케이팅 선수권에서 5번째 우승
2003 한국정보통신기능대학 개교
2004 현정은 前현대아산 이사회 회장부인, 현대 엘리베이터 주총에서 등기이사에 선임
2004 송두율씨 '반국가단체의 간부 또는 기타 지도적 임무에 종사'한 혐의로 징역 7넌선고
2004 한국 '고속철 시대'개막.고속철(KTX) 개통
2009 리비아 밀항선 침몰 300 여명 사망. 실종
2010 보람상조 그룹. 횡령혐의로 압수수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