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1일 (月) 詩의 날
근대적 종합잡지의 효시인 최초의 월간잡지 최남선의 <소년>이 창간되었다.
통권 23호까지 발행.<海에게서 소년에게>를 기념하여
1987년에 11월 1일이 시의 날로 정해졌고,현재국내등록잡지는 5천종이넘는다.
1435 조선, 일식 발생
1755 포르투칼 리스본에 지진(약 10만명 사망)
1757 이탈리아의 신고전주의 조각가 안토니오 카노바 출생
1800 미국 대통령관저 백악관 개관
1894 러시아 민족주의를 지지한 러시아의 황제 알렉산드르 3세 사망
1905 한국, 도량형 신제도 채택
1908 한국의 첫 월간 잡지 `소년` 첫 발행
1909 사법청의 개청으로 법부 폐지
1911 총독부, 교과서편찬 개시
1911 압록강철교 완공
1916 신소설 작가 이인직 사망
1922 오스만 투르크 제국 멸망
1925 백암 박은식 선생 사망
1925 중국, 무한정부 수립
1931 동아일보 신동아 창간
1934 부산-장춘간 직통열차운행개시
1935 나진항 개항
1939 외국인 입국체재 및 퇴거령 공포
1945 북한 노동신문의 전신 `정로(正路)` 창간
1948 여순반란사건 반도 89명 사형집행
1948 중국 상선, 남만주해에서 폭발, 침몰로 6천여명 사망
1949 서울-부산간 민간항공취항(운임 1만100원)
1950 코리아타임즈 창간
1951 미국, 네바다서 원폭실험 개시
1952 미국,세계최초로 수소폭탄 실험
1954 호남선에 특급열차 태극호 등장
1954 알제리 독립을 요구하며 7명의 프랑스인 살해,알제리아 독립전쟁 시작
1956 영국-프랑스군, 수에즈운하 폭격
1956 오스트리아, 영국-프랑스와 단교
1956 국내 최초 TV방송국 HLKZ-TV 정규방송
1958 교원윤리강령 선포
1960 서울대생들, 민족통일연맹-장면총리 미소방문-남북학생회담등 주장
1960 인도네시아, 석유 산업 국유화를 발표
1961 알제리서 혁명7개군 데모
1962 소련, 화성에 로케트발사 성공
1963 부산 수산센터(종합어시장) 개장
1963 베트남 군부쿠데타(1차)로 정반민 장군 집권(2일 고딘디엠 대통령 피살)
1981 정부, 국무총리 직속기관으로 사회정화위원회 설치.문교부, 중학교 의무교육 실시 결정
1983 새 주민증록증 발급 시작
1980 문교부, 중학교 의무교육 실시 결정
1980 전국 인구-주택 센서스 실시
1980 사회정화위원회 발족
1981 정부, 앤타카 앤드 바부다와 외교관계 수립
1981 언론인 유광열 사망
1982 인도- 파키스탄 뉴델리서 정상회담
1982 한울회사건 고-대법원 핑퐁판결
1983 새 주민등록증 발급 개시
1983 미국 신형토마호크 미사일 영국 도착
1983 미해병, 그레나다 철수
1986 광주시, 직할시로 승격
1987 해병대사령부 재창설(73년 10월 10일 해체)
1988 외환보유-송금 자유화
1988 서울시 인구 1천28만6천5백3명 기록
1989 정부, 폴란드와 대사급 외교관계 수립 합의
1990 국무회의, 국군의 날 한글날의 공휴일 제외 및 익일 휴무제 폐지 의결
1993 유엔총회, IAEA의 북한 핵사찰 촉구 결의안 가결(140대 1, 기권 9)
1993 유럽의 정치-경제 통합에 관한 마스트리히트 조약 발효
1997 해태그룹 화의 신청
1999 김우중 대우그룹회장,계열사 사장단 14명과 함께 사퇴
2001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의 김병현,한국인으로 첫 월드시리즈 진출
2001 국민은행과 주택은행을 합병한 새 국민은행 출범
2002 대한민국 전자정부 출범
2009 학술원회원 우형주 명예교수 사망
2010 기륭전자 비정규직 농성 5년만에 타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