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2일
1594(조선 선조 27) 임경업 장군 태어남
1699 프랑스 화가 샤르댕 출생
1755 프랑스 루이16세의 왕비 마리 앙투아네트 출생
1795 미국의 제11대 대통령 포크 출생
1865 미국 제29대 대통령 위렌 하딩 태어남
1874 만국우편조약 조인. 우리 나라는 1954년에 가입
1874 일본, 요미우리 신문 창간
1906 이탈리아 영화감독 루키노 비스콘티 출생
1909 통감부, 임시간도파출소를 폐쇄하고 일본총영사관을 개청
1917 영국 외상 유태인 국가건설을 지원하는 '밸푸어 선언'발표
1920 미국,라디오 정시방송 시작
1925 정주 오산학교, 고등보통학교로 승격
1927 상해에서 유일독립당촉성회 각지대표연합회 개최
1928 조선문예영화예술협회 창립
1936 BBC, 세계최초의 TV방송 시작
1941 콜롬보회의, 한국을 회계자문위원회 13차회의 옵서버로 승인
1941 영국, 노동당수에 휴 케이츠켈 재선
1946 민선 입법의원 45명 결정
1948 트루만, 미국 대통령에 재선
1950 영국 극작가 버나드 쇼 세상 떠남. 시드니 웹과 온건좌파 페비언협회 설립. 대표작: 인간과 초인, 성녀 존, 워렌인의 직업
1951 공비출몰로 남한 전역에 비상계엄령 선포
1952 한글학자 정태진 사망
1955 사정위원회 발족. 위원장에 조용순
1961 혁명재판소, 장도영 전최고회의의장 법정구속
1963 베트남의 고딘 디 엠 대통령 피살
1965 프랑스-소련, 핵병기 확산방지에 관한 공동성명 발표
1965 1965년 노벨문학상 수상 작품 `고요한 돈강`의 번역 출판 금지
1965 아프리카 외상회의
1968 울진 삼척에 무장공비 출현.북한 124군부대 소속 무장공비 100여명 침투하여 주민학살 등 만행 저질러 군인과 민간인 70여명 사상
1970 미소의 전략무기제한협정(SALT), 헬싱키에서 다시 열림
1972 남북조절위 평양서 제2차 공동위원장회의 개최
'조절위구성 및 운영에 관한 합의서'에 서명하고 11일 0시를 기해 상호비난방송 중지에 합의
1973 김종필총리 일본방문. 김대중 납치사건 일단락
1974 김종필 총리 방일, 다나카 일본 총리와 회담, 김대중 사건에 유감 표명
1980 이란의회, 미국인질석방 건의
1980 중국 4인방(강청.왕홍문,장춘교,요문원)기소
1981 시인 김소운 세상 떠남
1981 서울올림픽조직위원회(SLOOC) 구성.
1982 아프카니스탄 살롱터널서 소련군 호송차와 아프카니스탄 유조트럭 충돌. 약2,700명 사망
1982 올빼미 등 21종, 독도 등 5개섬 천연기념물 지정
1983 그레나다, 북한외교관 추방
1983 남서울대공원에 선보일 각종 동물 미국으로부터 김포 도착
1986 이란 공군수송기가 고도계 고장으로 산에 추락. 103명 사망
1987 자오쯔양(趙紫陽) 중국공산당 총서기에 선출
1988 원자력병원서 치료용 방사성원소 분실사고 발생
1988 5공비리특위 청문회
1991 정부, `국군의 날` `한글날` 공휴일 제외 확정
1991 91 한일프로야구 수퍼게임 개막
1992 영국 찰스왕세자부처 내한
1993 LA서북쪽 말리부지역에 산불. 임야 3만여 에이커와 고급주택 200여채 소실, 소방대원 등 11명 부상
1998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제4차 유엔기후변화회의가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180개국 대표들이 참가한 가운데 개막
1999 콜레스테롤 낮추는 `신물질` 국내 첫 개발
2000 서울여대 설립자 고황경 박사 사망
2004 전국에서 모인 3만 여명의 식당 업주들, 여의도 한강 시민공원에 모여 솥뚜껑 시위
2004 이슬람권의 여성 처우문제 비판한 네덜란드 영화제작자 반 고흐 피살
2004 셰이크 자이드 빈 술탄 알 나하얀 UAE 대통령 사망, 30여년 절대통치 마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