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4일
476 서로마제국 최후의 황제 폐위
1460(조선 세조 6) 함경도 조체찰사 신숙주, 여진 정벌
1658(조선 효종 9) 대동법 시행한 김육 세상 떠남. * 대동법; 조선 중기에 현물로 바치던 공물을 쌀로 바치게 한 법을 말한다.
지방의 특산물을 현물로 바치던 종래의 공물 세납은 납입, 보관, 운반 등에 어려움이 많았다. 또 방납(백성들이 내는 공물을
대신 내주고 이익을 붙여 받던 일)은 국가 수입을 축내고, 농민의 부담을 더해 주는 등 큰 문제를 안고 있었다.
대동법은 이런 폐단을 없애기 위해 특산물 대신 쌀을 바치도록 한 것이다. 산간 지방에서는 쌀 대신 돈이나 베로 받았다.
1768 프랑스 낭만주의 문학의 창시자 샤또브리앙(1768-1848) 태어남
"독창적인 작가란 누구도 모방하지 않는 작가가 아니라 아무도 모방할 수 없는 작가이다."
1789(조선 정조 13) 수원 읍치를 팔달산으로 옮김
1837 모르스 전신기 발명
1857 프랑스 철학자 아우구스트 콩트(1798-1857) 세상 떠남. 저서: 실증철학강의, 실증정치체계, 실증정신론
"우리의 원리를 사랑하고, 우리의 기초를 질서지으며, 우리의 목표를 추진시켜라."
"죽은 자는 산 자를 지배한다.""본질적으로 인간 외에는 진실된 것이 없다."
1868(조선 고종 5) 창덕궁 선원전에 있는 역대 임금 영정을 경복궁으로 옮김
1870 프랑스 제2제정(帝政) 폐지, 제3공화국 선포
1882 뉴욕에 처음으로 전등 켬
1887 영국 엑서터극장에 화재. 200명 사망
1892 프랑스 작곡가 밀로 출생
1904 세브란스 병원 개원
1907 노르웨이 민족음악파를 창시한 작곡가 그리그 사망
1909 일본, 간도 협약 체결하여 간도 지방을 청 나라에 양보. 처음 일본은 을사늑약을 맺은 뒤 간도의 용정에 통감부 출장소를 설치하고
관리를 파견하는 등 간도를 우리 영토로 받아들였다. 그러다 갑자기 태도를 바꿔
간도를 중국땅으로 인정했고, 그 대가로 남만주 철도부설권을 얻었다.
1932 오스트리아 빈서 세계평화회의 개막, 14개국 대표 80인 참가
1933 쿠바 노동자 반란
1936 마드리드에서 카바렐로를 수반으로 하는 인민전선정부 성립
1944 소련군 헝가리에 진입
1949 소련, 동독 농지개혁 완료 발표
1950 여자의용군교육대(여군학교 전신) 창설
1951 유엔군, 한국전에 소련군 참전했다고 발표
1951 미-일 강화조약, 샌프란시스코에서 체결
1953 딘 소장, 포로교환으로 귀환
1962 증권시장 개장
1964 자유언론수호 국민대회 발기준비회의, 범국민운동 전개방침 결정
1964 정부,언론보복조치 철회
1965 슈바이처 사망
1970 태풍 빌리호 강타. 인명피해 53명, 재산피해 60억 2,500만원
1971 알래스카항공 소속 보잉 727기 알래스카 주네우부근 산에 추락. 111명 사망
1972 전국의 거목, 노목, 진귀목 영구 보호수로 지정
1972 일본-중공, 해저케이블 설치에 합의
1974 미국-동독, 워싱턴서 대사급 수교 조인
1975 이스라엘-이집트, 2차 시나이협정 조인
1975 이스라엘과 이집트, 시나이협정에 조인
1980 북한, 휴전선 11개 지역에서 대남비방방송 재개.보사부, 전국의 호화묘지 모두 정리키로 결정 발표
1981 레바논주재 프랑스대사 델라마르, 베이루트서 피살
1981 상공부, 제5차 5개년 상공부문 계획 발표
1981 부마 고속도로 개통
1982 27회 세계야구대회 서울 개막 - 한국 우승
1984 동독 호네커 수상 서독방문 취소 발표
1985 북한,허담 비밀리에 서울방문해 전두환대통령과 비밀 회동
1989 추리소설작가 조르주 심농 사망
1990 한국-잠비아 국교 수립
1990 강영훈 총리 - 연형묵 북한총리, 서울서 남북한 첫 총리회담
1991 소련, 에스토니아-라트비아-리투아니아 등 발트3국 독립 승인
1994 일본 오사카 간사이 국제공항 개항
1995 북경 세계여성회의 개막
1999 동티모르 주민투표 결과 78.5%가 독립에 찬성
2000 동아시아 여성포럼, 대만에서 개막
2001 이용호 게이트 공개
2009 김상택 전 중앙일보 화백 사망
2009 나토군,아프가니스탄에서 민간인에게 공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