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 History/September

9월 1일

utopia100 2010. 9. 1. 20:58

9월 1일

             "9월 1일의 아침, 스칼렛은 숨막히는 공포에 사로잡혀 눈을 떴다. 그것은 지난 밤 잠들 때까지 계속해서 생각했던 

              전쟁에 대한 공포였다."    -마가렛 미첼의 소설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에서-
              큰 소리로 웃으면 '엔돌핀'의 분비가 촉진되어 통증을 없애주며 근육의 긴장도 풀어주고, 스트레스를 해소시켜 준다고 한다. 
              1991년 9월, 영국 웨스트 버밍햄 보건국은  '웃음소리 클리닉'의 개설을 허가, 웃음을 질병치료법으로 인정했다. 
              미국 의학 전문지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1971년 12월 호는 서로 분리되어 움직여져야 할 뼈들이 

              달라붙어 뻣뻣해지는 '강직성 척추염' 환자가 소리내어 웃는 웃음요법으로 치료되었다는 기사를 실었고,
             1987년에는 〈불편을 느낄 때 소리내는 웃음의 효과〉란 논문이  한 의학잡지에 발표되기도 했다.

  1715  루이 14세 세상 떠남.  "짐은 국가다(I am the state.). 그렇다면 신은 짐이 신을 위하여 지금까지
          힘써온 일을 잊으셨는가? 짐은 하마터면 기다릴 뻔 했다." 이 말은 의회에서 프랑스가 패했다는 보고를 듣고, 왕이 명령한 마차가
          겨우 시간에 맞추어 왔을 때 한 말이라고 한다. 루이 14세는 베르사이유궁의 정원을 꾸밀 때 수백 명의 사람들을 밤낮없이
          동원하는 등 대규모의 무리한 공사로 국민의 원성을 샀다. 1661년부터 4-5년에 걸쳐 완공된 이 정원을 후에 전 유럽에서 

          모방하게 되었다. 이를 계획하고 만든 정원사는 샹젤리제 거리(당시는 그가 수석정원사로 있던  튈르리궁에서 낸 길이었다.)를

          만든 앙드레 르 노트르인데 그의 정원양식은  샤를 랑팡이 워싱턴시의 조경계획을 세우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르 노트르가 

         1700년 9월,르 노트르가 1700년 9월,  87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 지 약 1세기 후  프랑스 국민들은 

         그의 묘를 파헤쳐 그의 뼈를 땅 위에 흩어버렸다고 한다.

  1870  프랑스-프로이센 간의 스당 전투 발발. 프랑스군의 참패로 나폴레옹 3세가 포로가 되고 프랑스 제2제정이 몰락

  1876  압둘 하미드, 오스만제국 술탄에 즉위

  1882  한국 식물학의 개척자 정태현 출생

  1894  미국 미네소타주에 산불. 143명 사망 

  1896  호구조사규칙 공포 

  1906  통감부, 기관지 `경성일보`발간 

  1907  한말의 의병장 손영각 사망 

  1907  한성에서 최초의 박람회 개최 
  1909  등대 6개소 설치. 서울 정화여학교 설립
  1911  여류 시인 노천명 태어남

  1914  독일, 오스트리아 대소(對蘇) 선전포고 

  1918  한용운, 불교지 `유심(惟心)` 창간 
  1916  김교현, 나철에 이어 대종교의 제2대 교주 자리에 오름

  1923  일본 동경에 진도 8.3의 지진. 동경의 1/3과 요꼬하마의 대부분이 파괴. 14만 3,000여명 사망, 
          가옥 전파 12만 8,269호, 소실가옥 44만 7,128호, 총피해액 65억엔

  1923  조선철도주식회사 설립

  1930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실업자 폭동

  1937  일제, 고등보통학교의 조선어 과목 폐지

  1939  독일, 폴란드 침공으로 제2차 세계대전 일어남

  1945  조선학병(學兵)동맹 결성 

  1945  라오스 파테트라오 독립선언 

  1945  조선민주당 결성, 24일 국민당으로 개편(위원장 안재홍) 
  1946  그리스, 국민투표로 왕정 부활
  1946  북로당 강령 발표, <로동신문> 발간

  1946  6.6.4제로 학제변경 
  1947  한국의 국제무선부호, HL로 결정

  1948  중국공산당, 화북정부 수립

  1948  서독 제헌의회 개최

  1950  미국 의회, 국방생산의 경제통제법 의결

  1951  미국, 호주, 뉴질랜드, 태평양안전보장 조약(ANZUS)에 조인
  1952  징병제 실시

  1952  중석불 사건 수사 본격화 
  1953  국군의 방송 시작
  1955  전국 인구조사 첫 실시

  1958  제1회 한국오픈골프선수권대회 개막

  1958  미국 해병대 제1진 대만도착

  1961  아프리카 중남미 26개국 비동맹정상회담, 베오그라드 헌장 채택
  1962  이란 북서부지역에 진도 7.1의 지진. 12,230명 사망

  1962  북한, 64년 동경올림픽 남북한 단일팀 구성에 동의

  1963  노동청, 철도청 발족 

  1963  미국, 소련 직통전화 개통 
  1964  월간 <신동아>지, 28년만에 복간

  1965  군수지원사령부 십자성부대 창설

  1965  인도와 파키스탄 양군, 캐슈미르에서 충돌
  1966  캐나다, 컬러 TV방송 개시

  1966   동파키스탄에 대홍수 피해주민 500만

  1966  영국 여객기 유고서 추락 95명 사망 

  1969  리비아 카다피 쿠데타로 집권
  1972  국립국악고등학교 설립
  1975  여의도 새 국회의사당 준공

  1975  이스라엘, 이집트간 시나이 격리협정 가조인

  1979  파이오니어 2호 토성서 자장(磁場)확인, 토성 2만2000km까지 접근, 토성테두리 사진 등을 지구에 전송

  1980  전두환, 제11대 대통령에 취임

  1981  서울지하철공사 발족

  1981  중앙아프리카 군사쿠데타, 다코대통령 실각

  1981  서울 지하철공사 발족

  1982  중국 12전대회, 총서기에 호요방 취임, 실용주의 노선 추진 선언
  1983  KAL기, 사할린 근해 상공에서 소련 공군기의 미사일에 격추당함. 규정항로를 660㎞ 이탈한 것으로 알려진 KAL 007기가 

         사할린 부근에서  민항기 여부를 식별도 하지 않은 채 미사일을 발사한 소련 전투기에 의해

         격추되어, 승객 240명 승무원 29명 등 269명 전원이 사망했다.

  1983  일반인 무선전화기 사용 허가 
  1984  수도권 지역과 영동지방 호우. 139명 사망, 47명 실종, 이재민 20만 7,000여명, 
          재산피해 771억여원, 농경지 피해 9만 9,000여정보

  1985  서울 경기지역에 호우, 45명 사망 및 실종, 이재민 700명 

  1986  외국산 담배 국내판매 개시

  1989  과천경마장 개장

  1990  케야르와 아지브 3차 회담
  1990  새 방송법 공포/ 경기도 여주군 영동고속도로 상행선 섬강교에서 버스 추락, 24명 사망
  1991  제15회 서울연국제 개막. <격정만리> 참가 취소 파문.최우수작품상 '길 떠나는 가족' 수상
  1992  이우정 등 여성 대표 30명, 판문점 거쳐 평양에 도착. 평양에서 열리는 '아시아의 평화와 여성의 역할' 토론회 참석 목적
  1993  과학관측 로켓 '과학2호', 충남 서해안 안흥시험장에서 발사 성공
  1994  미국, 북-미 제네바 회담 이후 한국내의 대북 강경기류에 우려 표명

  1994  지하철 분당선 개통

  1995  한국-브라질, 범죄인인도협정-투자보장협정 체결

  1996  일본 해상자위대 소속 군함 2척, 2차대전후 처음으로 부산항에 입항

  1996  동아건설, 리비아 대수로 2차 공사 통수식

  1999  파나마 첫 여성대통령 미레야 모스코소 취임

  2001  세계최초의 심장이식수술에 성공한 크리스천 버나드 사망

  2002  중국 공안국, 조선일보 베이징지국 사전통보나 영장없이 심야수색

  2002  중국 `한 가정 한 자녀` 정책 법제화-공식 시행

  2004  체첸 반군,러시아 북오세티아 공화국 베슬란시 초등교에서 인질극

  2005  제16회 아시아육상경기선수권대회 개막(인천문학경기장 )

  2009  이지스함의 대부 웨인 메이어 전 미국 해군 소장 사망

 

'Today History > Septemb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월 6일  (0) 2010.09.06
9월 5일  (0) 2010.09.05
9월 4일  (0) 2010.09.04
9월 3일  (0) 2010.09.03
9월 2일  (0) 2010.09.02